Plenty 뜻,어원,동의어,유의어,반의어,관용구,예문

들어가기전에
오늘 소개해드릴 영어단어는 'plenty'입니다. 일상 회화부터 문학 작품에 이르기까지 자주 등장하지만, 명사·대명사·부사로 모두 쓰일 만큼 용법이 다양하지요. 이번 글에서는 'plenty'의 뜻, 어원, 동의어·유의어, 반의어, 관용구, 예문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단어 하나가 담고 있는 풍부한 뉘앙스를 이해하면 영어 표현력이 한층 넓어집니다.
목차
1. plenty 뜻
plenty는 기본적으로 '풍부함, 충분함, 많음'을 의미하는 명사·대명사입니다.
- 명사/대명사 : a plenty of 🍎 → '풍부한 ~', '많은 ~'
(예) There is plenty of time. — 시간이 충분하다. - 부사 : '충분히, 아주 많이'
(예) It's plenty cold outside. — 밖이 몹시 춥다.
2. plenty 어원
plenty는 중세 영어 plente에서 왔으며, 이는 Old French plenté(풍요, 충분)를 거쳐 라틴어 plenus(가득 찬, full)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어근 ple‑는 '채우다(fill)'를 뜻해 complete, implement와도 연관됩니다. 따라서 'plenty'는 본래 '가득 차 있음'이라는 이미지가 내포돼 있습니다.
3. plenty 동의어 및 유의어
- Abundance : 풍부, 많음 (격식체·명사)
- Profusion : 다량, 풍성 (문어체·긍정적 뉘앙스)
- Copiousness : 많은 양, 다량 (학술·문학적)
- Ample : (형용사) 넉넉한, 충분한
- Galore : (명사 뒤) 많은, 풍부한 — bargains galore
- Myriad : 무수한, 셀 수 없이 많은 (비유적)
4. plenty 반의어
- Scarcity : 부족, 결핍
- Paucity : 소량, 빈약
- Lack : 결핍, 부족 (명사/동사)
- Shortage : (필수품의) 부족, 품귀
- Deficiency : 결핍, 결점 (주로 영양·능력)
5. plenty 관용구
- Land of plenty : 풍요의 땅, 기회의 땅
- Plenty more fish in the sea : (실패 후) 기회가 아직 많다
- In plenty : 풍성하게, 넉넉히 — Food was provided in plenty.
- Plenty to go around : 모두에게 돌아갈 만큼 충분하다
- Plenty of room (to/for) : (무언가를 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여지
6. plenty 예문
"We still have plenty of time before the meeting starts."
— 회의 시작까지 아직 시간이 충분하다.
"There are plenty of cafes along this street."
— 이 거리에는 카페가 아주 많다.
"Make sure you drink plenty of water during the hike."
— 등산 중에 물을 충분히 마셔라.
"It's plenty warm enough to swim today."
— 오늘은 수영하기에 충분히 따뜻하다.
"Opportunities are plenty for those who are prepared."
— 준비된 자에게는 기회가 많다.
"The harvest yielded plenty this year."
— 올해 수확은 풍성했다.
"She has plenty to say about the subject."
— 그녀는 그 주제에 대해 할 말이 많다.
"There’s plenty more where that came from!"
— 그건 아직도 잔뜩 있다!
"Even with plenty of evidence, he remained unconvinced."
— 수많은 증거에도 불구하고 그는 설득되지 않았다.
"In the land of plenty, poverty should be unacceptable."
— 풍요의 땅에서 빈곤은 용납돼서는 안 된다.
마무리
지금까지 'plenty'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보았습니다. 단순한 양적 표현을 넘어 풍요·충분·여유라는 긍정적 이미지를 전달하는 단어죠. 동의어·반의어와 관용구, 예문까지 익혀 두면 회화·작문에서 표현의 폭이 넓어집니다. 언어 학습은 맥락과 뉘앙스를 이해할 때 더 깊어집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도 흥미로운 단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