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728x170
반응형

'백중(百中)'
'백중(百中)'뜻, 의미, 유래, 실생활 예문 예시


목차

1.백중(百中) 소개

2.백중(百中)의 뜻과 유래

3.한자풀이

4.마무리


반응형

백중(百中) 소개

'백중(百中)'이란 풍속을 오늘 소개하겠습니다.

음력 7월 15일은 여름철 휴식기로, 농민들이 여름 축제를 즐기며 음식과 술을 공유하고 백중놀이를 하는 전통적인 농민명절입니다.

백중은 백중(白中), 백중(百衆), 백종(百種), 백종절(百種節), 중원일(中元日), 망혼일(亡魂日) 등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주로 "백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불교의 5대 명절 중 하나로, 부처님의 주요 사건 4가지에 우란분재가 추가된 명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의미와 유래, 그리고 이 표현이 사용되는 실제 사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백중(百中)의 뜻과 유래

백중은 다양한 과일과 채소가 풍성해지는 시기로, 100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춘 것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여러 문헌에서 기록되어 있습니다.

17세기 김육의 송도지에서는 7월 15일을 백종이라 부르며, 여러 다른 문헌들에서도 백종, 백중 등의 명칭으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날은 불교의 중요한 명절로, 중원일에 백종의 꽃과 과일을 부처님께 공양하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민간에서는 조상의 영혼을 기리는 망혼제를 지내며, 절에서는 석 달 동안의 하안거를 마치는 날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중은 먹고 마시며 놀는 날로, 두레먹기 등 다양한 놀이와 행사가 열리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과 풍속이 있습니다.

백중은 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일반인들도 참석한 우란분회가 있었으나 조선 시대 이후로는 사찰에서만 진행되어 대한민국에서는 그 풍습이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중국, 일본, 베트남에서는 아직도 백중날을 크게 지냅니다.

일본은 현재 양력을 사용하여 8월 15일 경에 오본과 함께 제사를 지내고 절을 참배합니다.

중국에서는 추석 한 달 전에 악귀를 쫓는 큰 제사를 지내며, 이는 "Ghost Festival"이라는 이름으로 서양에도 알려져 있어서 차이나타운에서도 행해집니다.

반응형

한자풀이

각 한자의 뜻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百(백): 백, 100의 수를 의미합니다.
  • 中(중): 가운데나 중간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마무리

오늘은 '백중(百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백중은 음력 7월 15일에 농민들이 여름축제를 즐기는 전통적인 명절로, 다양한 과일과 채소의 풍성한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날은 불교의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서 부처님께 다양한 꽃과 과일을 제공하며, 조상의 영혼을 기리는 망혼제와 절에서의 행사가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반응형
세로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