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자끼리 대립하여 소외되거나 피해를 입는 일은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래싸움에서 새우가 죽듯, 소소한 일에서 큰 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경우 사용되는 표현 경전하사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목차
경전하사(鯨戰蝦死) 소개
'경전하사(鯨戰蝦死)'이라는 성어를 오늘 소개하겠습니다.
이는 '고래싸움에 새우가 죽는다'라는 의미로, 권력자끼리의 다툼은 작은 사람이 피해를 보게 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사회 각계각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작은 사람들이 더 많은 주의와 배려를 받아야 함을 상기시키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경전하사에 빠져서 작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그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의미와 유래, 그리고 이 고사성어가 사용되는 실제 사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경전하사(鯨戰蝦死)의 뜻과 유래
'경전하사(鯨戰蝦死)'는 직역하면 '고래가 싸울 때 새우의 등이 터진다'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큰 사람이나 기관 간의 충돌에서 취약한 사람이나 단체가 피해를 보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대기업 간의 경쟁에서 작은 업체가 어려움을 겪거나, 강대국 간의 갈등에서 약한 국가가 피해를 입는 경우를 '경전하사'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흔히 불공평하고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 표현은 그러한 사실을 강조하고 경계하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경전하사는 힘센 자들의 싸움에 휘말려 관계없는 약한 자가 해를 입는 상황을 비유하는 성어입니다.
홍만종의 순오지 에서는 유래가 되었습니다.
순오지의 내용은
鯨戰鰕死, 言小者介於兩大而受禍 큰 사람들의 싸움에 작은 사람들이 화를 입는다라는 뜻입니다.
한자풀이
각 한자의 뜻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鯨(경): 고래를 의미합니다.
- 戰(전): 싸우다, 전쟁을 의미합니다.
- 蝦(하): 새우를 의미합니다.
- 死(사): 죽다, 터지다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한자들이 결합하여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는 의미의 '경전하사'라는 고사성어가 형성되었습니다.
실생활 예시
- "정치인들의 논쟁 속에 작은 업체들이 경전하사의 상황에 빠졌다."
- "두 대기업의 경쟁으로 중소업체들이 경전하사의 참상을 맞게 되었다."
- "대형 슈퍼마켓이 생기자, 작은 마을 상점들은 경전하사의 비극에 빠졌다."
- "대학 간의 경쟁으로 인해 학생들이 경전하사의 피해를 입게 되었다."
- "업계 대기업간의 가격전쟁에 소비자는 이익을 봤지만, 중소 판매업체는 경전하사의 상황에 처해 있었다."
- "대기업들의 법정 다툼으로 인해 작은 협력업체들은 경전하사의 피해를 봤다."
- "정치인들의 논쟁으로 인해 무고한 시민들이 경전하사의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 "부모님의 이혼으로 아이들이 경전하사의 피해를 입었다."
- "두 나라 간의 무역 전쟁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경전하사의 상황에 놓였다."
- "기업 간의 경쟁으로 소규모 판매자들이 경전하사의 피해를 겪었다."
- "두 팀의 충돌로 인해 팀원들은 경전하사 같은 상황에 처했다."
- "커다란 프로젝트에서의 불화로 작은 업체들은 경전하사의 상황을 겪었다."
- "주요 선수들의 대립으로 경기장 내의 팬들이 경전하사의 피해를 입었다."
- "커다란 기업들 사이의 특허 소송으로 중소기업들은 경전하사의 상황에 처했다."
- "정부와 반정부 집단 간의 충돌로 인해 민간인들이 경전하사의 피해를 입었다."
- "두 매체사의 논쟁으로 인해 작은 출판사들이 경전하사의 상황에 놓였다."
- "계열사간의 경영 문제로 소규모 투자자들이 경전하사의 상황에 처했다."
- "두 대학 간의 경쟁으로 학생들이 경전하사의 피해를 입었다."
- "국가 간의 경제전쟁으로 작은 사업자들이 경전하사의 상황에 빠졌다."
- "지방 정부의 갈등으로 인해 시민들이 경전하사의 피해를 봤다."
마무리
오늘은 '경전하사(鯨戰蝦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는 큰 물고기(고래)가 싸우면 작은 물고기(새우)가 터진다는 뜻으로, 큰 기업, 조직, 국가 등이 경쟁하거나 싸우면 그 사이에서 작은 기업, 사람들이 피해를 본다는 뜻입니다.
이 성어는 특히, 사회 구조 내에서의 불균형과 불합리한 현상을 지적하는데 사용되며, 큰 세력간의 경쟁이나 논쟁에서 약자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줍니다.
일상생활에서도 이 성어를 활용하면 상황의 이해가 깊어지고, 말의 표현이 풍부해집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성어와 그 뜻을 소개하며 여러분과 함께 배워가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원지간(犬猿之間)'뜻, 의미, 유래, 실생활 예문 예시 (1) | 2023.08.19 |
---|---|
'기인지우(杞人之憂)'뜻, 의미, 유래, 실생활 예문 예시 (0) | 2023.08.19 |
'거거익선(巨巨益善)'뜻, 의미, 유래, 실생활 예문 예시 (0) | 2023.08.19 |
'토포악발(吐哺握髮)'뜻, 의미, 유래, 실생활 예문 예시 (0) | 2023.08.19 |
'각자도생(各自圖生)'뜻, 의미, 유래, 실생활 예문 예시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