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728x170
반응형

'목불인견(目不忍見)'
'목불인견(目不忍見)'뜻, 의미, 유래, 실생활 예문 예시

우리가 사회에서 겪는 어려움과 고충은 때때로 목불인견할 정도로 가슴 아프게 만들곤 합니다.

특히 우리가 신뢰하고 의지하던 사람들이나 상황에서 배신이나 실망을 느낄 때, 그 상처는 눈에 차마 볼 수 없을 만큼 깊습니다.

오늘은 이런 순간에 자주 사용되는 목불인견이라는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목불인견(目不忍見) 소개

2.목불인견(目不忍見)의 뜻과 유래

3.한자풀이

4.실생활 예시

5.마무리


반응형

목불인견(目不忍見) 소개

'목불인견(目不忍見)'이라는 성어를 오늘 소개하겠습니다.

이는 '눈에 보기 싫어 참을 수 없다'는 의미로, 특히 인간의 행동이나 태도, 혹은 상황이 너무나도 끔찍하거나 부당하여 목도하고 싶지 않을 정도일 때 사용됩니다.

살면서도 우리는 마주치는 불합리하거나 불공정한 상황에 대해 목불인견의 감정을 느낍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고, 더 나은 사회와 인간관계를 만들어 나갈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합니다.

서로의 행동과 태도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되, 그것이 불쾌한 감정으로 이어지지 않게 주의하며, 올바른 방향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의미와 유래, 그리고 이 성어가 사용되는 실제 사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목불인견(目不忍見)의 뜻과 유래

'목불인견(目不忍見)'은 직역하면 '눈이 참지 못하고 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무언가를 보기 힘들 정도로 미워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감정의 분출로 인해 그 모습을 직접 보기 어려운 상황을 나타냅니다.

특히 서로의 입장이나 생각이 크게 갈리고 있어, 이해관계가 충돌하거나 협력이 어려운 상황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팀원 간의 심각한 의견 충돌로 협력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목불인견"의 상황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혼란스러움을 초래하며, 갈등과 불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목불인견은 상황의 심각성을 지적하는 동시에, 갈등을 해결하고 협력의 길을 찾는 데 중점을 둬야 함을 시사합니다.

목불인견은 명나라 주국정의 용당소품의 단대기의 구절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그 구절은 又導觀諸獄景象甚慘目不忍視狼狽而走 그 뜻은 각종 지옥의 장면을 보게하니, 그 광경은 매우 참혹하여 눈길을 돌리지 못하고 당황하여 도망쳤다라는 내용입니다.

반응형

한자풀이

각 한자의 뜻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目(목): 눈을 의미합니다.
  • 不(불): 아니라는 부정의 의미입니다.
  • 忍(인): 참다, 견디다를 의미합니다.
  • 見(견): 보다를 의미합니다.
반응형

실생활 예시

  1. "그 공장의 노동 환경은 목불인견이었다. 안전 조치가 하나도 없었다."
  2. "폐쇄된 동물원의 상황은 목불인견이었다. 동물들은 죽을 지경으로 병들었다."
  3. "그녀의 말투와 태도는 목불인견이었다. 그런 모습을 볼 수록 마음이 아팠다."
  4. "지난 호랑이의 패배는 목불인견이었다. 팬들은 더 이상 못 보겠다고 소리쳤다."
  5. "그는 동료에게 심한 모욕을 주는 말을 했는데, 그 장면은 목불인견이었다."
  6. "그의 생활습관을 보면 목불인견이다. 청결을 전혀 지키지 않는다."
  7. "회사의 부도는 목불인견이었다. 많은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8. "학교 폭력 현장을 목격한 것은 목불인견이었다. 누구도 그런 상황을 보고 싶지 않을 것이다."
  9. "이웃집의 가난한 생활 상황은 목불인견이다.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된다."
  10. "정치인의 비리 사건은 목불인견이었다. 국민들은 더 이상 그를 믿지 않는다."
  11. "사고 현장의 모습은 목불인견이었다. 그 장면은 잊을 수가 없다."
  12.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빙의 모습은 목불인견이다. 지금 당장 대책을 세워야 한다."
  13. "그의 마지막 작품은 목불인견이었다. 그만큼 실패했던 것이다."
  14. "아이들의 헌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달성하지 못한 결과는 목불인견이었다."
  15. "그 지역의 환경오염은 목불인견이다. 정부는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마무리

'목불인견'은 우리가 혐오하거나 눈에 보기 싫은 상황을 직관적으로 묘사하는 성어입니다.

이 성어는 부정적이고 충격적인 상황을 강조하거나 그러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비유적인 표현으로서 사회의 문제나 개인의 태도, 인간관계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목불인견'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한다면, 우리의 언어 표현이 한층 더 풍부해질 것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성어와 그 뜻을 통해 우리의 언어와 문화를 함께 탐구해 나가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반응형
세로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